눈물샘과 눈물관 이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 눈에는 눈물을 만드는 눈물 공장인 눈물샘과 눈물이 빠져나가는 눈물관이 존재합니다. 눈물샘은 눈꺼풀 위, 아래에 위치하여 눈물을 만들고, 눈을 촉촉하게 적신 눈물은 눈물관을 통하여 배출합니다. 그러나 노화를 비롯해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눈물 배출로에 이상이 생겨 막히게 되면 눈물이 고이다 흐르는 눈물길막힘증이 발생합니다.
눈물길막힘증 원인
선청성과 후천성으로 나뉘는데 선천성은 태어날때 부터 눈물의 배출관이 얇은 막에 막혀 제대로 열리지 않은 경우에 해당됩니다. 이 때문에 늘 눈에 눈물이 고여 있거나 눈곱이 끼며, 심할 경우에는 눈물이 과하게 흘러 피부가 짓무를 수도 있습니다.
후천적 눈물흘림증의 원인은 대부분 노화현상이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눈물관 주변 조직에 주름이 생기면서 눈물길이 좁아지거나 이물질이 쌓여 막히는 것입니다. 이 외에도 눈이나 코 주변의 염증 및 종양이 생겻거나 외부 충격으로 눈물관에 손상을 입었을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후천성 눈물흘림 경우에도 눈물이 자주 고여 흐르기 때문에 시야가 흐리고 뿌옇게 보이는 증상을 겪습니다. 또한 잦은 충혈과 눈꼽, 통증 등이 동반하며 심하면 눈물을 훔치는 습관으로 인하여 피부와 누낭에 염증질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눈물흘림증 치료
눈물흘림증 치료는 눈물길이 완전히 막혔는지 좁아졌는지에 따라 접근 방법이 달라집니다. 만약 눈물길이 완전하게 막혔다면, 새로운 눈물관을 만들어주는 수술이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해당 수술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코 안에 있는 얇은 뼈에 작은 구멍을 내 눈물샘과 직접 연결되는 새로운 눈물길을 만드는 과정이 이뤄집니다.
눈물길이 완전히 막힌것이 아닌, 좁아진 경우라면 '실리콘 튜브 삽입술'이 치료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수술은 눈물길 안 쪽에 실리콘관을 삽입하여 눈물길을 다시 넓혀주는 방법으로 개인에 따라서 2개월에서 6개월간 삽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