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환자 치료, 금융 치료 모두 가능한 간호사가 될게요.

Today
Yesterday
Total
  • 유방 혹 , 제대로 알아보기
    카테고리 없음 2022. 6. 12. 22:55
    반응형

    유방 혹 , 제대로 알아보기




    유방 혹

     


    유방은 호르몬에 민감하게 작용을 합니다. 호르몬에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 대표적으로 난임, 생리통, 생리불순, 다낭성난소증후군, 유방통, 유방혹 등의 이상이 나타나는데 특히 유방혹의 경우 여성호르몬 분비의 균형이 깨져 유선과 섬유질이 커지면서 유방조직의 변성을 일으키는 섬유낭성변화를 시작으로 섬유선종, 관내유두종으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유방 속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혹이 만들어지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 우리 몸속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들이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혹 제거 뿐만 아니라 유방양성혹이 재발, 확산되지 않게 그 원인을 확실히 파악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유방통증 원인


    유방통증이 오는 원인은 첫째 유방은 호르몬과 관련된 장기로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합니다. 생리 일주일전부터 콕콕 쑤시는 듯 아프거나 찌르는 듯 통증이 간헐적으로 나타나는게 일반적입니다.  특히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생리주기가 불규칙하거나 호르몬제제약을 복용하였을 경우 통증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최근 현대인들이 자주 마시는 커피 및 홍차 등 카페인 음료를 4잔 이상 섭취했을 경우 호르몬 주기의 변화로 통증이 더 유발되었다는 여구 결과가 발표 되기도 하였습니다.

    유방혹 , 유방암 초기진단가능

     

    유방에 혹이 만져지는 경우 실제 새로 발생한 유방 혹이거나 유방조직이 커지면서 혹으로 느껴지는 소위 젖뭉침이라고 표현하는 멍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때 멍울은 실제 혹이 아니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치 않으나 비전문가의 경우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유방혹의 경우 유방 유방암으로 진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대문에 지나친 걱정보다는 문제가 커지기 전에 전문의를 찾아 도움을 받는것이 바람직합니다.



    연령대별 유방혹

     



    10~20대 여성에게서 만져지는 혹은 섬유선종이라는 질환으로 고무공을 만지는 듯한 느낌이 나고 탄력은 있으나 경계가 매끈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만졌을 때 통증이 없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섬유선종은 양성질환으로 암으로 발전할 경우가 전혀 없는 질환입니다. 혹의 크기가 지름 2cm 이상 커질 경우 미용 상 좋지 않기 때문에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2cm 이하에서는 제거하지 않아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30~40대 여성에서 만져지는 혹은 섬유낭종이라는 질환입니다. 유방조직이 커지면서 일부 유방조직에 물혹이라는 낭이 형성되는 것으로 섬유선종과 같이 악성 가능성은 없습니다. 하지만 섬유선종 또는 섬유낭종 질환이 있을 경우 일반인과 비교하여 유방암 발병율이 1.5배 증가하기 때문에 평소 정기 검진은 반드시 해주어야 합니다.

    50대 전후 만져지는 혹은 악성가능성이 큽니다. 때문에 혹이 만져진다면 보다 빨리 전문병원을 방문, 초음파 검사 및 조직 검사를 하고 검사 결과에 따른 조치를 해주어야 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